151. 고로(용광로) 제선용 주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 자철광
- 적철광
- 갈철광
- 능철광
152. 슬래그(Slag)의 유동성을 좋게 하는 부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CaCO3는?
- 백운석
- 철광석
- 석회석
- 규사
153. 가루 철광석과 코크스(Coke)가루를 혼합한 다음 코크스를 연소시켜 철광석 가루를 덩어리로 만든 광석은?
- 선철(Pig Iron)
- 펠리트(Pellet)
- 석회(Lime)
- 소결광(Sinter Ore)
154. 고로(용광로)에서 많이 사용하는 코크스(Coke)의 역할로 적합한 것은?
- 열원
- 점결제
- 산화제
- 냉각제
155. 고로(용광로) 본체 중 용선(Molten Iron)과 슬래그(Slag)가 저장되어 있으며 출선구 (Tapping Hole)가 설치된 곳의 명칭은?
- 노구(Throat)
- 노흉(Shaft)
- 노복(Belly)
- 노상(Hearth)
156. 고로(용광로)에 장입되는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 코크스(Coke)
- 철광석(Iron Ore)
- 석회석(Lime Stone)
- 실리콘(Slicon)
157. 고로(용광로) 내의 불어넣는 열풍 중 코크스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연소용 가스(Gas)의 명칭은?
- 수소(H2)
- 규소(Si)
- 산소(O2)
- 알곤(Ar)
158. 고로(용광로) 내의 철광석이 코크스(Coke)와 반응하여 용선(Molten Iron)이 만들어지는 화학식은?
- C+O=CO
- FeO+C=Fe+CO
- Mn+O=MnO
- Si+O2=SiO2
159. 제철소에서 중요하게 관리하는 슬래그(Slag)의 염기도를 나타내는 식은?
- SiO2/CaO
- CaO/SiO2
- MgO/Al2O3
- Al2O3/MgO
160. 고로(용광로) 내에서 출선할 때 용선과 함께 나와 용선 위에 떠있는 물질로 주로 산화물로 되어 있는 찌꺼기는?
- 슬래그(Slag)
- 코크스(Coke)
- 일산화탄소(CO)
- 슬러지(Sludge)
161. 전로제강용으로 사용되는 주원료로 고로에서 생산하여 공급하며 주요성분이 Fe로 되어 있는 원료는?
- 용선(Molten Iron)
- 석회석(Lime Stone)
- 고철(Scrap)
- 형석(CaF2)
162. 전로조업을 할 때 용강 중에 탄소(C)가 목표치보다 낮을 경우 투입하는 부원료로 적합한 것은?
- 석회석(CaCO3)
- 고철(Scrap)
- 코크스(Coke)
- 철광석(Fe2O3)
163. 정련을 위하여 전로 내 용선에 산소를 불어넣는 장치의 명칭은?
- 호퍼(Hopper)
- 스키머(Skimmer)
- 랜스(Lance)
- 주형(Mold)
164. 전로 내에 장입(Charging)된 용선중의 불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어넣는 산화 정련용 가스는?
- 수소(H2)
- 질소(N2)
- 알곤(Ar)
- 산소(O2)
165. 고로에서 가져온 용선중의 S, P 등의 불순물을 전로에 장입하기 전에 제거하는 작업은?
- 제선원료 사전처리
- 소결
- 노외정련
- 용선예비처리
166. 전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고철 중에 수분이 많으면 어떤 사고가 발생되는가?
- 용강온도 급증
- 가스 중독
- 폭발
- 레이들 파손
167. 전로 조업을 할 때 전로 내에 산소를 불어 넣는 이유는 용선 중의 어떤 불순물을 주로 제거하기 위함인가?
- S
- C
- As
- B
168. 전로 내 용선중의 5대 불순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제거되는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
- Si + 2O = SiO2
- Mg + O = MgO
- Ti + 2O = TiO2
- 2Al + 3O= Al2O3
169. 전로조업 중 용강온도가 목표치보다 너무 높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고철 투입
- 코크스 투입
- 산소 추가 투입
- 조업 중단
170. 전로에 용선 90톤, 고철 10톤을 장입하여 용강 98톤과 슬래그 2톤을 생산하였다면 출강실수율은?
- 90%
- 92%
- 96%
- 98%
171. 전기로제강에서 철원이 되는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고철
- 용선
- 냉선
- 합금철
172. 강중 기공흠(Blow Hole)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탈산제중 산소와 친화력이 가장 큰 원소는?
- Si
- Al
- Mn
- Sn
173. 전기로의 주요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노용 변압기
- 집진설비
- 용선 예비처리장치
- 전극 승강장치
174. 전기로는 원료장입에 앞서 용손된 노 내화물을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내화물은?
- 알루미나(Alumina)
- 실리카(Silica)
- 지르콘(Zircon)
- 돌로마이트(Dolomite)
175. 전기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노 바닥부분에 어떤 고철을 장입해야 하는가?
- 대형 고철
- 중간 중량고철
- 중량고철
- 경량고철
176. 전로제강법과 비교하여 전기로제강법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 용강 온도조절이 쉽다.
- 생산성이 우수하다.
- 특수강제조가 쉽다.
- 사용원료 제약이 적다.
177. 전기로조업 중 전력 투입량을 최대로 해야 하는 조업단계는?
- 출탕기조업
- 산화기조업
- 용해기조업
- 환원기조업
178. 전기로 환원기조업 때 주로 제거되는 원소는?
- 황(S)
- 인(P)
- 탄소(C)
- 규소(Si)
179. 전기로조업의 주요공정은 용해기조업→ ( )조업→ 제재조업→ 환원기조업 순서로 이루어진다. ( )에 맞는 조업은?
- 산화기
- 중화기
- 원료장입
- 노보수
180. 전기로조업을 마치고 출강할 때 용강을 받는 용기의 명칭은?
- 주형(Mold)
- 레이들(Ladle)
- 슬래그 포트(Slag Pot)
- 슈트(Shute)
181. 용강 레이들(Ladle)내의 슬래그(Slag) 위에 3상 교류 전극 봉(Electrode Bar)을 담그고 아크(Arc)를 발생시키어 정련하는 특수정련법의 명칭은?
-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
-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법
- LF(Ladle Furnace)법
- PI(Powder Injection)법
182. 특수정련법의 하나인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의 효과로 부적합한 것은?
- 승온
- 탈탄
- 탈황
- 탈가스
183. 레이들(Ladle)내에 있는 용강 중에 불활성가스를 불어 넣어 용강을 교반(Stirring)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버블링(Bubbling)
- 슬로핑(Slopping)
- 스피팅(Spitting)
- 보일링(Boiling)
184. 레이들(Ladle) 위에 진공조(Vacuum Champer)를 설치하여 레이들내 용강을 진공조 내로 끌어올려 탈가스를 하는 특수정련 장치의 명칭은?
-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
-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법
- LF(Ladle Furnace)법
- RH(Ruhrstahl Hereaus)법
185.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 정련은 탈가스를 목적으로 한다. 다음 중 탈가스 대상이 아닌 가스는?
- CO
- H2
- Ar
- N2
186.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하를 가하여 판재나 선재 등을 생산하는 가공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단조(Forging)
- 압연(Rolling)
- 프레스(Press)
- 주조(Casting)
187. 두께가 50~30mm, 폭이 350~2,000mm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판재 압연용 소재의 명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강괴(Ingot)
- 블룸(Bloom)
- 슬래브(Slab)
- 빌릿(Billet)
188. 열간압연용 소재인 슬래브(Slab)를 압연하기 전에 검사하는 항목으로 부적합한 것은?
- 표면
- 치수
- 형상
- 편석
189. 열간압연을 위하여 압연소재를 가열하는 설비의 명칭은?
- 가열로
- 보온로
- 열처리로
- 소성로
190. 다음은 압연에 필요한 수식으로 무엇을 산출하기 위한 것인가? ⦁ △h = h0 - h1 (h0 : 압연 전 소재 두께, h1 : 압연 후 소재 두께)
- 연신율
- 팽창율
- 압하율
- 압하량
191. 열간 압연 시 가열로에서 나온 압연용 소재를 사상 압연(Finishing Mill)하기에 적합하도록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조압연
- 권취압연
- 다듬질압연
- 보조압연
192. 압연용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슬래브(Slab)는 다음 중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적합한가?
- 선재(Wire Rod)
- 후판(Plate)
- 환봉(Bar)
- 형강(Section)
193. 열간 압연 코일(Hot Rolled Coil)을 생산하는 열간 압연 공정에서 사상압연 다음의 공정으로 맞는 것은?
- 스케일 제거
- 가열
- 냉각
- 조압연
194. 열간 압연에서 압연을 마치면 코일형태로 감아 열연 코일(HR Coil)을 제조하는 설비의 명칭은?
- 전단기(Divider)
- 채우기(Filler)
- 압연기(Roller)
- 권취기(Coiler)
195. 냉간압연 소재인 열연코일(HR Coil)의 표면의 산화철(Scale)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화학처리제로 산세(Pickling)효과가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 질산
- 인산
- 초산
- 염산
196. 냉간압연에 의해 생산된 냉간압연 코일(Cold Rolled Coil)의 용도로 적합한 것은?
- 가전제품용
- 조선용
- 보일러용
- 교량용
197. 냉간압연(Cold Rolling)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로 적합한 것은?
- 슬래브(Slab)
- 열연코일(HR Coil)
- 후판(Plate)
- 바(Bar)
198.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표면에 부착된 압연유, 기계유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정련(Refining)
- 도금(Coating)
- 청정(Cleaning)
- 산세(Pickling)
199. 냉간압연에 의해 발생된 내부응력으로 가공성이 떨어진 강판에 600~850℃로 열을 가하여 가공성을 부여하는 열처리방법은?
- 소둔(Annealing)
- 소입(Quenching)
- 소려(Tempering)
- 소준(Normalizing)
200.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의 기계적 성질개선과 표면 성상을 조정하기 위하여 압하율 0.3~3%정도로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조압연(Rough Rolling)
- 조질압연(Skin Pass Rolling)
- 사상압연(Finish Rolling)
- 가압압연(Reduction Rolling)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