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주형의 강도와 통기도 및 습기에 의한 결함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 건조
- 냉각
- 체질
- 혼련
52. 주형의 표면 건조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연소 도형제법
- 화염 건조법
- 적외선 건조법
- 건조로 건조법
53. 주형의 외부로부터 용탕을 주입하는 곳은?
- 주입컵(Pouring Cup)
- 탕구(Sprue)
- 탕도(Runner)
- 주입구(Gate)
54. 탕도에서 용탕이 주형에 들어가는 곳은?
- 탕구(Sprue)
- 주입컵(Pouring Cup)
- 주입구(Gate)
- 탕도(Runner)
55. 주형의 제품으로 되는 부분에 직접 주입구를 만드는 것은?
- 휠 주입구(Wheel gate)
- 직접 주입구(Direct gate)
- 샤워 주입구(Shower gate)
- 나이프 주입구(knife gate)
56. 탕구비라 함은 탕구, 탕도, 주입구의 단면적의 비를 말하는데 탕구가 25㎠, 탕도단면적이 50㎠, 주입구가 50㎠ 일 때 탕구비는 얼마인가?
- 1 : 1 : 1
- 2 : 2 : 2
- 1 : 2 : 2
- 2 : 2 : 1
57. 주물의 반지름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된 회전판을 일정한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켜 주형을 만드는 조형법은?
- 현형(Solid Pattern)
- 회전형(Sweep Pattern)
- 골격형(Skeleton Pattern)
- 부분형(Section Pattern)
58. 두 개의 플레이트의 한쪽에만 맞붙여서 상·하 주형을 각개의 조형기로 조형하는 것으로 매치플레이트의 경우보다 큰 대형, 중형을 제작하는 특수원형은?
- 마스터 패턴(Master Pattern)
- 매치플레이트(Match plate)
- 패턴플레이트(Pattern Plate)
- 부분형(Section Pattern)
59. 바닥에 주물사를 깔고 수평으로 만든 다음 다짐봉으로 다져서 여기에 원형을 수직으로 눌러서 만드는 조형법은?
- 개방 주형법(Open sand moulding)
- 주형 상자 주형법(Flask moulding)
- 토간 주형법(Bed in moulding)
- 표면 건조형법(Roast sand moulding)
60. 도형제가 구비해야 할 성질 중 틀린 것은?
- 도포성이 양호할 것
- 침투성이 양호할 것
- 소착현상이 양호할 것
- 열전도성이 낮을 것
61. 대기 중에서 용해하는 것에 비하여 전압이 낮고 용탕에 접하는 가스의 분압이 낮은 것이 특징인 주조법은?
- 마그네틱 주조법
- 자경성 주조법
- 진공 주조법
- CO₂ 주조법
62. 도가니 중에 가열 유지된 용탕 위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0.2 ~ 1.0 kg/㎠ 정도의 압력으로 압입시켜 도가니 안에 장치된 급탕관을 통하여 용탕을 중력과 반대 방향 으로 밀어 올려서 급탕관 상단에 설치된 주형에 주입하는 주조법은?
- 진공 주조법
- 저압 주조법
- 고압응고 주조법
- 원심 주조법
63. 주형 내에 주입된 금속에 용융 또는 반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가 완료될 때까지 기계적인 고압력을 가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 주조방법은?
- 고압 응고 주조법
- 저압 응고 주조법
- 원심 주조법
- 정밀 주조법
64. 주형을 회전시켜 주입된 용탕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주물을 값싸게 주조하는 주조법은?
- 금형 주조법
- 정밀 주조법
- CO₂ 주조법
- 원심 주조법
65. 원판상의 기어, 차륜, 풀리 등의 대칭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축의 둘레로 주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축 중상의 탕구에 용탕을 주입시켜 주조품을 만드는 주조법은?
- 진원심주조(True centrifugal casting)
- 반원심주조(Semi centrifugal casting)
- 원심가압주조(Centrifuged casting)
- 인베스트먼트주조(Investment casting process)
66. 금속으로 만든 주형에 각종 합금의 용탕을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주조법은?
- 마그네틱 주조법
- 시멘트계 주조법
- 원심주조법
- 금형주조법
67. 용융 금속에서 직접 압연과 동시에 빌릿(billet)을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주조법은?
- 진공 주조법
- 연속 주조법
- CO₂주조법
- 석고 주조법
68. 건조 규사와 100 ~ 200 메시(mesh) 정도의 수지 점결제를 배합한 합성사를 200 ~ 300℃로 가열 경화시켜 얇은 조개 껍질상의 주형을 만드는 방법은?
- 셸몰드 주조법(Shell mould process)
- 다이캐스팅 주조법(Die casting machine)
-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process)
- 풀몰드법(Full mould process)
69. 인베스트먼트 주조법에서 사용되는 원형의 재료는?
- 금속
- 왁스
- 모래
- 산화철
70. 소모성 원형인 발포성 폴리스티렌 원형을 사용하는 주조 방법은?
- 쇼 프로세스
- 석고 주형법
- 풀몰드법
- 칠주물 주조법
71. 코크스(coke)를 열원으로 하는 용해로는?
- 반사로
- 아크로
- 유도로
- 큐폴라
72. 주로 비철 금속 용해에 사용되는 용해로는?
- 도가니로
- 전기로
- 반사
- 용광로
73. 용해로에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kg)으로 규격을 표시하는 용해로는?
- 도가니로
- 용선로
- 용광로
- 전기로
74.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금속을 용해하는 로는?
- 용광로
- 도가니로
- 전기로
- 용선로
75.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광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계는?
- 광 고온계
- 열전쌍 고온계
- 복사 고온계
- 풍압계
76. 주입용 기구로써 용융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는 기구는?
- 레이들
- 중추
- 송풍기
- 고온계
77.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Si, Fe-Si, Ca-Si 등을 첨가하여 주철의 재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 탈황
- 접종
- 탈산
- 탈가스
78. 용탕에서 접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온도는 몇 ℃ 인가?
- 600℃ 이상
- 800℃ 이상
- 1000℃ 이상
- 1400℃ 이상
79. 주물 표면의 청정 방법이 아닌 것은?
- 펀치아웃머신(Punchout machine)
-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
-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 하이드로 블라스트(Hydro blast)
80. 기계 가공을 하지 않는 주물 표면에 나타나는 많은 주물 결함은 각종 충전재나 페이스트로 보수할 수 있고, 결함 장소에 경화되어 주물 내에 남을 수 있는 특수 소재를 메꾸어 넣는 방법의 보수법은?
- 용접에 의한 보수
- 충전재에 의한 보수
- 침투법에 의한 보수
- 메탈라이징에 의한 보수
81. 주형에 주입된 용탕은 주형 외벽으로부터 냉각, 응고되기 시작하여 점차 내부 또는 상부로 응고가 진행된다. 응고될 때 수축에 의해서 용탕이 부족해지고 최종 응고 부위에 공동(空洞)이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
- 균열(Crack)
- 개재물(Inclusion)
- 미세공(Pinhole)
- 수축공(Shrinkage cavity)
82. 주형 내에 용탕이 합류될 때 그 경계면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아 형태가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
- 소착(Sand burning)
- 파임(Scab)
- 용탕경계(Cold shut)
- 열간균열(Hot tear crack)
83. 주형과 용탕 간의 반응에 의해 주물사가 주물 표면에 융착되어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으로 주물사의 내화도가 낮거나 주형의 밀도가 낮을 경우에 발생하는 주물의 결함은?
- 기공(Blow hole)
- 파임(Scab)
- 꾸김(Buckle)
- 소착(Sand burning)
84. 용탕이 주형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응고된 주탕불량(misrun)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 탕구방안을 개선한다.
- 주입온도를 낮춘다.
- 주입속도를 빠르게 한다.
- 충분한 압탕을 준다.
85. 주물이 응고될 때 고온에서 응고 수축이 저지되어 발생되는 열간균열(Hot tear crack)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 합금의 함량을 조절한다.
- 주형은 열팽창계수가 높도록 한다.
- 주물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주형을 설계한다.
- 최종 응고 부위에 냉금(Chill metal)을 부착시켜 응력 발생을 방지한다.
86. 주물의 검사 중에서 외형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 표면의 거칠기 검사
- 부분적 변형 검사
- 합형의 틀림 검사
- 길이 검사
87. 주물의 검사에서 치수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두께 검사
- 길이 검사
- 기울기 검사
- 화학 성분 검사
88. 주물의 내부 결함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자기 탐상 검사
- 초음파 탐상 검사
- 기울기 검사
- 방사선 투과 검사
89. X선이나 γ 선 등의 방사선을 주물에 투과시키면 검사 부위의 두께나 밀도, 재질 등에 따라서 투과 상태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주물 내의 결함 부위를 검사하는 방법은?
- 초음파 탐상 검사
- 방사선 투과 검사
- 자기 탐상 검사
- 형광 침투 탐상 검사
90. 원형 제작 시 주물의 재질, 모양을 고려하여 수축률을 결정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은?
- 두께 검사
- 길이 검사
- 기울기 검사
- 중량 검사
91. 원형 제작 시 가공이 쉽고 가벼워서 원형용 재료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 주철
- 주강
- 석고
- 목재
92. 원형재료로 목재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로서 틀린 것은?
- 금속에 비하여 재료비가 저렴하다.
- 합성수지에 비하여 가공비가 저렴하다.
- 금속, 석고보다 가볍고 가공성이 좋다.
- 대량 생산과 특별한 정밀도를 고려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93. 원형의 종류 중 구조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현형(Solid pattern)
- 회전형(Sweep pattern)
- 풀몰드형(Full mould pattern)
- 긁기형(Strickle pattern)
94. 용융 금속은 주형 속에서 냉각, 응고 시에 수축이 생겨 주물이 주형보다 작아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실제 주물보다 크게 만들어 주는 것은?
- 가공 여유
- 수축 여유
- 보정 여유
- 빼기 기울기
95. 설계 도면에서 기계 절삭 가공을 위하여 미리 주물 표면에 그 만큼의 여유를 붙인 것은?
- 보정 여유
- 주물 여유
- 가공 여유
- 라운딩
96. 주형에서 수직인 면을 가진 원형을 빼낼 때 그 면이 클수록, 길이가 길수록 작업이 곤란하여 주형이 파손되기 쉬우므로 원형을 빼내는 방향에 구배를 주는 것은?
- 라운딩(Rounding)
- 가공 여유(Finishing allowance)
- 수축 여유(Shrinkage allowance)
- 빼기 기울기(Pattern draft)
97. 원형의 두께가 얇거나 파손되기 쉬운 부분에 설치해 주는 것은?
- 덧붙임
- 라운딩
- 수축 여유
- 주물 여유
98. 비중이 0.6인 목재로 원형을 제작하였더니 무게가 10kg이었다면 비중이 7.2인 주철 제품의 무게는 몇 kg인가?
- 100 kg
- 120 kg
- 140 kg
- 160 kg
99. 알루미늄으로 만든 원형의 무게가 40kg 일 때 주철 용탕의 무게는 몇 kg 준비하면 되는가? (단, Al 비중 2.7, 주철 비중 7.8, 계수는 0.3)
- 5 kg
- 15 kg
- 25 kg
- 35 kg
100. 목재의 건조 시 100㎜인 재료가 70㎜로 수축하였다면 수축률은 얼마인가?
- 10 %
- 20 %
- 30 %
- 40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