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etal] 1-50
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etal] 1-50
Please click on to check the Correct Answer.
1. 다음 중 비철금속 원소가 아닌 것은?
- Mg
- Al
- Fe
- Cu
2. 다음 중 철강 재료가 아닌 것은?
- 순철
- 탄소강
- 주철
- 티타늄합금
3. 금속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열과 전기의 부도체이다.
- 금속적 무광택성을 가지고 있다.
- 상온에서 고체이다.
- 액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4. 금속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 비중
- 경도
- 자성
- 부식성
5. 다음 중 금속의 결정구조가 아닌 것은?
- 조밀입방격자
- 조밀육방격자
- 체심입방격자
- 면심입방격자
6. 인장과 압축응력을 오랜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복 작용시켜서 일어나는 파단 현상은?
- 강도
- 경도
- 인성
- 피로
7. 강의 변태에서 ⍺고용체의 금속 조직학상 용어는?
- 페라이트(ferrite)
- 오스테나이트(austenite)
- 펄라이트(pearlite)
- 시멘타이트(cementite)
8. 다음 중 고상변태(고체에서 고상으로 변화)가 아닌 것은?
- 공정
- 공석
- 포석
- 편석
9. 2종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본래의 성분 금속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독립된 결정격자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 고용체합금
- 금속간화합물
- 포정합금
- 한율고용체
10. 금속의 강화기구 중 제2상이 분말야금이나 내부산화법에 의해 형성되는 강화현상은?
- 고용체강화
- 석출강화
- 분산강화
- 입자미세화강화
11. 금속의 소성변형을 응용한 소성가공법이 아닌 것은?
- 압연가공
- 단조가공
- 프레스가공
- 주조가공
12. 금속의 소성가공은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나누는데, 그 기준점은?
- 재결정온도
- 용융온도
- 탄성변형온도
- 응고온도
13. 다음 중 경금속으로만 나열된 것은?
- Al, V
- Cr, Zn
- Fe, Mg
- Al, Mg
14. 다음 중 인장강도 시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 연신율
- 경도
- 용융점
- 열전도도
15. Fe-C평형상태도에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함유량은?
- 4.3%
- 2.0%
- 0.8%
- 0.025%
16. 다음 조직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조직은?
- 시멘타이트(cementite)
- 오스테나이트(austenite)
- 펄라이트(pearlite)
- 페라이트(ferrite)
17. 탄소강 중의 5대 원소가 아닌 것은?
- Al
- Si
- Mn
- P
18. 탄소강의 열처리에서 담금질을 하는 목적은?
- 조직의 표준화
- 내부 응력의 제거
- 경도 향상
- 탈탄 촉진
19.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용도가 아닌 것은?
- 내식용
- 절삭용
- 내충격용
- 열간가공용
20. Cr을 다량 첨가하여 내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은?
- 구조용 특수강
- 공구용 합금강
- 스테인레스강
- 고속도 공구강
21. 백주철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 펼라이트+시멘타이트
- 펼라이트+시멘타이트+흑연
- 펄라이트+흑연
- 펄라이트+페라이트+흑연
22. 합금주철의 종류로서 부적당한 것은?
- 칠드주철
- 내마모성주철
- 기계구조용 합금주철
- 내열 및 내산주철
23. 주철의 주조성을 좌우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 용탕의 산화도
- 유동성
- 수축률
- 흑연화
24. 황동(brass)의 합금성분은?
- Cu+Zn
- Cu+Sn
- Cu+Ni
- Cu+Fe
25. 황동 또는 청동에 비해 강도, 경도,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성질 및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업용 기기, 항공기, 자동차 등의 부품으로 적당한 재료는?
- 알루미늄청동
- 인청동
- 연청동
- 규소청동
26. 다음 알루미늄 합금 중 시효경화형 합금은?
- Al-Si
- Al-Cu
- Al-Mn
- Al-Mg
27. 알루미늄 합금에서 과포화 고용체를 만드는 용체화 처리 온도는 몇 도인가?
- 100℃
- 300℃
- 500℃
- 700℃
28. 미국 AA(Aluminum and Aluminum alloy)에서 분류한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의 식별부호 중 5000계열은?
- Al-Cu계 합금
- Al-Mn계 합금
- Al-Si계 합금
- Al-Mg계 합금
29. 니켈의 실용합금인 인바(invar), 엘린바(elinvar), 니켈로이(nickalloy) 등의 합금성분은?
- Ni-Fe 합금
- Ni-Cr 합금
- Ni-Cu 합금
- Ni-Al 합금
30. 베어링 합금은 주석계, 납계, 구리계, 아연계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구리계 베어링 합금의 명칭은?
- kelmet
- duralumin
- babbit metal
- monel metal
31. 18금(18K)의 순금 함유량은?
- 95%
- 85%
- 75%
- 65%
32. 섬유강화형 복합재료는 탄성률이 높은 섬유재로 모재금속을 강화시켜 금속재료 보다 비강도, 비탄성이 극히 높은 재료이다. 이 재료의 복합화 성형법으로 액상법이 아닌 것은?
- 고온압출법
- 용침법
- 가압주조법
- 진공주조법
33. 합금 중에 산화물 등의 내열입자를 분산시켜 대단히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기지는 금속이므로 세라믹보다 우수한 연성을 나타내어 내열성과 연성 양방향의 특성을 지닌 신금속재료는?
- 열전재료
- 핵융합로 구조재료
- 입자분산 복합재료
- 초내열합금
34. 다음 중 기능성 신금속재료가 아닌 것은?
- 자성재료
- 반도체재료
- 비정질금속재료
- 섬유강화금속재료
35. 금속재료가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는?
- 초탄성재료
- 초소성재료
- 전극재료
- 초강력강
36. 다음 중 안전보건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 금지표지
- 경고표지
- 지시표지
- 도로표지
37.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탑승금지 표지인 것은?
-
-
-
-
38.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인화성물질경고 표지인 것은?
-
-
-
-
39.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응급구호 표지인 것은?
-
-
-
-
40. 재해발생시 응급처치 요령으로 잘못된 것은?
- 환자의 체온유지에 힘쓴다
- 구급차를 부른다
- 환자에게 음료수를 준다
- 변, 구토물 등의 증거품을 보존한다
41. 응급처치 구명 4단계가 아닌 것은?
- 지혈
- 기도유지
- 보온유지
- 운반준비
42. 안전색상 표시법으로 잘못된 것은?
- 적색-긴급정지누름단추, 소방시설
- 황색-압축기 공기파이프, 최소한의 안전표시
- 황색과 흑색줄무늬-위험물, 장애물표시
- 녹색과 백색줄무늬-방사선 장비구역표시
43. 드릴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동 후에 드릴이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장갑을 끼고 작업하지 않는다.
- 드릴 회전 중에는 칩을 입으로 불지 않는다.
- 전기드릴을 사용 할 때는 반드시 접지하도록 한다.
44. 연삭기 작업 안전수칙으로 올바른 것은?
- 연삭숫돌 교체시 시운전은 불필요한 동작이다.
- 연삭숫돌에 미세한 균열이 있어도 작업에는 지장이 없다.
- 연삭숫돌 정면에서 150도 정도 옆으로 비켜서서 작업한다.
- 가공물은 연삭숫돌에 급격하게 접촉시킨다.
45. 용접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용접기 주변에 물을 뿌려서 먼지가 나지 않도록 한다.
- 용접기 어스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 용접작업 중단시 전원을 차단시킨다.
- 탱크 등 좁은 공간에서 용접작업시 물체에 기대지 않도록 주의한다.
46. 화학설비 해체작업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화학설비 부속품을 세정할 때는 휘발성 세정액이 묻은 걸레를 사용하여야 한다.
- 화학설비 해체시 고압에 의한 유해물질의 분출이 없도록 내부 압력을 제거한다.
- 화학설비 해체시 유해물질 비산에 대비하여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 잔류물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가스 또는 액체로 치환해 두어야 한다.
47. 위험장소 작업안전 수칙상 작업허가서가 필요하지 않는 작업은?
- 유해위험물질 취급작업
- 중량물이동 작업
- 고소작업
- 도금작업
48. 산업폐기물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폐기물에는 산업폐기물, 일반폐기물 및 방사성폐기물이 있으며, 산업폐기물은 19종으로 분류한다 .
- 펄프제조업, 제지업, 종이 가공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종이쓰레기라고 한다.
- 의류,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섬유쓰레기라고 한다.
- 가축의 분뇨와 사체는 산업폐기물의 종류로 분류하지 않는다.
49. 각종 제조업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진흙 모양의 산업폐기물을 오니라고 하는데, 이의 처리 시 가장 적당한 함수율은 몇%입니까?
- 90%이하
- 85%이하
- 80%이하
- 75%이하
50. 산업폐기물 처리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폐산, 폐알칼리-매립 처분
- 유기성오니-소각 처분
- 고무쓰레기-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 폐플라스틱류-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