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다음의 CNC 공작기계의 종류와 사용처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 CNC선반, 머시닝센터 : 절삭가공
- CNC 평면연삭기, CNC 원통연삭기 : 연삭가공
- CNC 와이어컷 방전가공기 : 방전가공
- CNC 초음파가공기, CNC 레이저가공기 : 전주가공
52. CNC 공작기계의 구비 조건 중 적당하지 않는 것은?
- 절삭 가공의 능률이 좋을 것
- 동력손실이 크고 치수 정밀도가 좋을 것
- 조작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을 것
- 기계의 강성이 높을 것
53. 수치제어 자동화 시스템의 발달 과정을 4단계로 분류한 것이다. 맞는 것은?
- NC → CNC → DNC → FMS
- DNC → NC → CNC → FMS
- FMS → NC → CNC → DNC
- NC → DNC → CNC → FMS
54. CNC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SERVO)기구 중 위치검출 회로가 없는 방식은?
- 반폐쇄회로 방식
- 폐쇄회로 방식
- 개방회로 방식
-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55. 범용 공작기계에서 사람의 손, 발과 같은 기능이 CNC 공작 기계에서는 어느 부분 에서 이루어지는가?
- 컨트롤러
- 볼 스크루
- 리졸버
- 서보기구
56. CNC 공작기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 위치 결정 제어
- 직선 절삭 제어
- 평면 절삭 제어
- 윤곽 절삭 제어(연속절삭)
57. CNC 공작기계의 테이블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나사로 백 래쉬(Back lash)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부품은?
- 볼 나사
- 톱니 나사
- 사각 나사
- 사다리꼴 나사
58. CNC 공작기계의 서보기구 형식에서 모터축으로부터 위치검출과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신뢰도가 높아 대부분의 CNC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 개방회로 방식
- 반폐쇄회로 방식
- 폐쇄회로 방식
- 반개방회로 방식
59. 머시닝센터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원통형상의 공작물을 다른 CNC공작기계에 비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 밀링, 드릴링, 태핑, 보링 작업 등을 연속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다.
- 윤곽절삭 및 곡면가공과 같이 어려운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 ATC를 비롯하여 APC 장치, Robot 및 자동 창고장치를 갖추어 FMS의 실현을 가능 하게 한다.
60. 다음 중 CNC 공작기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 특수공구의 제작으로 공구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 범용 공작기계로 가공하기 어려운 형상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61. 머시닝센터의 모드스위치 종류와 설명의 연결로 잘못된 것은?
- EDIT(편집) : 프로그램을 등록, 수정, 삭제한다.
- AUTO(자동) : 등록된 프로그램을 자동 운전한다.
- MDI(반자동) : 수동으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입력하여 운전한다.
- HANDLE(핸들) : 버튼을 눌러 각 축을 연속으로 고속 이송한다.
62. 기계작동 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의 버튼으로 기계의 작동을 순간 적으로 멈추게 하는 조작판넬의 요소는?
- 드라이런
- 싱글 블록
- 급송이송 오버라이드
- 비상정지
63. 다음의 G-Code “G97 S100 M03"에서 1분당 회전수(rpm)는?
- 10
- 100
- 200
- 500
64. CNC 선반 작업시 발생하는 구성 인선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절삭속도를 고속으로 한다.
- 공구 상면 경사각을 작게 한다.
-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
- 마찰저항이 큰 공구를 사용한다.
65. 다음 중 CNC 프로그램의 어드레스(address)와 그 기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 준비기능 : G
- 이송기능 : F
- 주축기능 : S
- 휴지(dwell) : M
66. 머시닝센터에서 M8×1.25p의 탭공구를 사용하여 탭가공을 하려고 한다. 회전수는 1분당 100회전(100rpm)을 사용하려고 할 때 피드(Feed)값으로 맞는 것은?
- 100
- 125
- 150
- 200
67. CNC 선반에서 φ50 환봉을 외경 가공하려고 한다. 절삭속도가 가장 빠른 G 코드는?
- G96 S100
- G97 S100
- G96 S150
- G97 S150
68. 머시닝센터 프로그래밍에서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은?
- M06
- M09
- M30
- M99
69. 재료 기호가 “STD 10"으로 표기되어 있을 경우 이 재료는 KS에서 무슨 재료일까?
- 기계 구조용 합금강
- 탄소 공구강
- 기계 구조용 탄소강
- 합금 공구강
70. 머시닝센터에서 공구를 자동으로 장착하고 교환하는 장치는?
- ATC
- APC
- ATP
- APT
71. 다음의 기계가공 방법 중 선반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 기계 위에 공구나 재료를 올려놓지 않는다.
- 이송을 걸은 채로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는다.
- 빠른 생산을 위해 기계 타력 회전을 손이나 공구로 멈추게 한다.
- 가공물 절삭공구의 장착은 확실하게 한다.
72. 다음의 기계가공 방법 중 선반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 절삭공구의 장착은 짧게 하고 절삭성이 나쁘면 일찍 바꾼다.
- 칩의 비산 시 보안경을 착용하고 비산을 막는 차폐 막을 설치한다.
- 절삭 또는 회전 중 공작물을 측정하지 않으며, 칩 제거 시는 브러시나 긁기봉을 사용한다.
- 작업 중에는 안전을 위해 손에 장갑을 낀다.
73. 선반 작업시 안전 사항으로 틀린 내용은?
- 척이 회전하는 도중에 일감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확실히 고정한다.
- 항상 비상 정지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고 있어야 한다.
- 기계에 공구나 가공물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기계 정지 후에 한다.
- 가공 칩은 반드시 기계 정지 후 손이나 측정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74. 밀링 작업을 시작하기 전 설비를 점검하여야 한다.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 기계의 각 부분을 점검한다.
- 기계 주위와 사용 공구의 정리·정돈을 한다.
- 전원 및 각종 스위치를 확인한다.
- 작업의 편리를 위해 평소 복장으로 작업한다.
75. 밀링 작업 혹은 선반 작업 도중에는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회전부분에 절대 손대지 않아야 한다.
- 장갑을 끼고 작업하지 않아야 한다.
- 선반 작동 중 자리를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 정전일 때는 다음 작업을 위해 전원을 켜놓는다.
76. 기계 가공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 안전 및 다음 작업 준비를 위해 후처리를 해야 한다. 다음 중 작업 완료 후 처리 사항으로 틀린 것은?
- 사용한 모든 공구를 정리·정돈한다.
- 모든 전원 스위치는 차단하고 이송장치 등을 원위치 시킨다.
- 칩 제거와 기계 주위청소 및 정리·정돈을 한다.
- 기계수리, 측정 등은 기계가 완전히 멈추기 전이라도 빠른 시간에 해야 한다.
77. CNC 선반 작업시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 가공물을 장착하거나 끄집어 낼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끄고 바이트를 충분히 연 다음 한다.
- 안전을 위해 심압대는 스핀들을 가능한 길게 내어 놓는다.
- 가공물의 장착이 끝나면 척, 렌치류는 곧 벗겨 놓는다.
- 무게가 편중된 가공물의 장착에는 균형추를 부착하며 장착물은 방진구에 사용커버를 씌운다.
78. 다음의 내용은 CNC 선반 작업시의 안전 사항이다. 제시한 사항 중 틀린 것은?
- CNC 선반 공작물은 무게중심을 맞춰야 안전하다.
- CNC 선반에서 나사가공시 Feed Override는 100%로 해야 한다.
- 바이트의 자루는 가능한 굵고 짧은 것을 사용한다.
- 드릴은 Chip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절삭속도를 크게 해야 한다.
79. 머시닝센터 작업시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 사용 전에 기계·기구를 점검하고 시운전해 본다.
- 일감은 테이블 또는 바이스에 안전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 커터의 제거 혹은 설치는 작업 중이더라도 빠르게 설치한다.
- 회전하는 커터에 손을 대지 않는다.
80. CNC 공작기계에서 전원을 투입한 후 기계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첫 번째 조작은?
- 프로그램 편집
- 공작물 좌표계 설정
- 기계 원점복귀
- 수동 Mode로 주축 회전
81. CNC 공작기계의 운전을 위한 준비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다. 작업 준비사항으로 제시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작업시 안전을 위해 장갑을 낀다.
- 절삭가공 전 반드시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 공작물의 고정에 유의한다.
- 공구경로에 유의한다.
82. CNC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경우, 작업 도중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일반 적인 안전 사항 중 잘못된 것은?
- 기계의 움직이는 테이블 위에는 공구나 기타 물건을 올려놓지 않는다.
- 작업 중 보안경 및 안전화를 착용한다.
- 기계주위는 항상 밝게 하여 작업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 강전반, 조작반 등의 먼지나 칩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83. CNC 방전기의 작업시 안전 수칙으로 잘못된 것은?
- 장시간 무인운전은 원칙적으로 피해야 한다.
- 가공액은 비용 절감을 위해 저렴한 것만을 가공액으로 사용해야 한다.
- 점검 보수를 위하여 컨트롤러의 내부를 열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다.
- 운전 중에 전극을 만지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
84. CNC 방전기는 작업 중 화재위험이 있다.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로 잘못 제시된 것은?
- 이상 방전이 전혀 없을 때
- 가공액이 가공탱크에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큰 출력으로 작업할 때
- 가공부위에 인화성이 높은 물체가 있을 때
- 졸음 등으로 작업자가 주의를 소홀히 할 때
85. CNC 방전가공기의 정기점검 항목으로 잘못된 것은?
- 윤활유(1일 1∼2회)와 그리스(월 1회)는 주기적으로 주입한다.
- 설비 각부의 볼트 조임 상태의 점검은 6개월마다 시행한다.
- 가공액 여과기의 필터는 적절한 시기에 교환해야 한다.
- 기계의 사용 후에는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청소한다.
86. 다음의 점검 사항은 머시닝센터의 일일 점검 사항이다. 다음 중 매년 점검사항으로도 충분한 항목은?
- 외관 점검
- 유량 점검
- 각부의 작동 점검
- 기계 본체의 레벨 점검 및 조정
87. CNC 공작기계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점검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 각종 버튼은 무리 없이 작동하는가?
- 소모부품은 적절한 시점에 교환되고 있는가?
- 전기적인 부분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는가?
- 장비의 분해는 장비 동작 중에도 잘 되는가?
88. CNC 공작기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경보인 “Emergency stop 스위치 ON” 경보 해제 방법은?
- 비상 정지 스위치 해제
- 습동유 보충
- 이송축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
- 공기압을 높인다.
89. CNC 공작기계에서 경보와 원인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 Emergency L/S ON : 비상정지 리미트 스위치 작동
- TORQUE LIMIT ALARM : 충돌로 인한 안전핀 파
- AIR PRESSURE ALARM : 공기압 부족
- Lubrication Tank Level Law Alarm : 습동유 과다
90. 다음의 CNC 공작기계 경보와 해제방법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 Emergency L/S ON : 비상정지 리미트 스위치를 해제한다.
- SPINDLE ALARM : 비상정지 스위치를 누르고 전원을 끈다.
- AIR PRESSURE ALARM : 공기압(5㎏/㎠)을 높인다.
- Lubrication Tank Level Law Alarm : 습동유를 규격품으로 보충한다.
91. 기계 제도에 사용하는 선은 여러 종류가 있다. 이들 선은 사용처에 따른 명칭, 선의 모양에 따른 명칭이 각기 다르다. 다음 선의 종류중 선의 종류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가는 실선
- 파선
- 1점쇄선
- 절단선
92. 기계 도면에는 제품의 형상과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여러 가지 기입 요소들이 삽입된다. 다음 중 치수의 기입요소가 아닌 것은?
- 치수선
- 치수 보조선
- 화살표
- 치수 경계선
93. 기계도면과 건축도면은 각기 다른 투상법을 사용한다. 다음 중 기계제도에 사용되는 투상법으로 맞는 것은?
- 1각법
- 2각법
- 3각법
- 5각법
94. 기계도면의 치수를 표현할 때 치수선의 양 끝에 기호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호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다음 중 기계도면에 사용되는 끝부분 기호가 아닌 것은?
- 화살표
- 기점기호
- 사선
- 검정 동그라미
95. 기계도면의 치수 기입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기입하여야 하며, 동일한 법칙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 중 치수 기입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
- 치수는 선에 겹치게 기입해서는 안 된다.
- 치수는 되도록 계산이 필요하게 기입한다.
-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 치수는 중복기입을 피한다.
96. 기준점, 선, 평면, 원통 등으로 관련 형체에 기하 공차를 지시할 때 그 공차 구역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돌출 공차역
- 데이텀
- 최대 실체 공차 방
- 기준치수
97. 다음 중 치수공차의 용어와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 형체 : 치수 공차방식·끼워맞춤 방식의 대상이 되는 기계부품의 부분
- 구멍 : 주로 원통형의 내측형체, 원형 단면이 아닌 내측 형체도 포함
- 치수 : 형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 허용 한계치수 : 형체의 실제 치수가 그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정한 2개의 극한 치수
98. 다음 기하 공차 중에서 자세 공차에 해당하는 것은?
- -: 진직도 공차
- ⊥ : 직각도 공차
- ◎ : 동심도 공차
- ↗ : 원주 흔들림 공차
99. 다음의 표면의 결 도시 방법 중 “제거 가공을 허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은?
-
-
-
-
100. 다음 중 가공 방법과 약호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선반가공 : L
- 드릴가공 : D
- 밀링가공 : M
- 연삭가공 : GH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