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achinary, Molding] 101-150
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achinary, Molding] 101-150
Please click on to check the Correct Answer.
101. 도면에 도형을 실물과 같은 크기로 나타내는 척도는?
- 현척
- 축척
- 배척
- 후척
102. 국가에서 제정한 한국표준규격은?
- BS
- DIN
- KS
- ISO
103. 투상도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정투상도
- 등각투상
- 사투상도
- 오투상도
104. 도면 치수의 표시 방법에서 치수기입 요소로 틀린 것은?
- 치수 보조선
- 참조선
- 화살표
- 지시선
105. 기하공차의 기호를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 ▱ :평면도
- ◯ :진원도
- / / :원통도
- ┴ : 직각도
106. 가공방법의 기호로 틀린 것은?
- L : 선삭
- D : 드릴링
- M : 밀링
- G : 호닝
107. 아래 보기의 등각 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투상도는?
<보기>
-
-
-
-
108. 치수 보조기호의 표시방법으로 틀린 것은?
- ∅ : 지름
- R : 구의 반지름
- S∅ : 구의 직경
- t : 판의 두께
109. 보기의 부품 ①의 형상 해석으로 옳은 것은?
-
-
-
-
110. 탄소강으로 도면과 같은 부품을 가공을 하였을 때 부품의 무게는?
(단, 탄소강의 비중량은 7.8이다.)
- 약 4㎏
- 약 5㎏
- 약 7㎏
- 약 10㎏
111. 프레스에서 사고의 불완전한 상태(물적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안전 방호 장치 결함
- 복장, 보호구의 결함
- 기계의 잘못 사용 결함
- 작업 환경의 결함
11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작업 복장의 일반적인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 작업복
- 작업모
- 신발
- 양발
113. 유해물질로부터 인체의 전부나 일부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가 아닌 것은?
- 구두
- 보안경
- 안전 장갑
- 안전대
114. 스트리퍼와 다이판에 고정되어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금형 부품은?
- 밀핀
- 피어싱 펀치
- 가이드 핀 부시
- 블랭킹 펀치
115. 프레스에 금형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
-
116. 금형의 탈,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여주기 위한 고정 장치는?
- 금형 급속 교환 장치
- 금형 분해 장치
- 금형 보관 장치
- 금형 이송 장치
117. 사출성형기에 대형 금형을 설치할 때 금형을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 드라이버
- 바이스
- 호이스트
- 해머
118. 프레스의 금형설치에 있어서의 사전 점검을 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
- 생크홀과 펀치의 평행도
-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
- 다이와 볼스터의 평행도
119. 아래 그림은 금형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고정구이다. 고정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클램프
- 바이스
- 커터기
- 벤진구
120. 금형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⓵번 부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고정용 블록
- 고정 클램프
- 이동용 블록
- 이동 클램프
121. 산업사고의 형태 중 정지물에 부딪친 경우는?
- 추락
- 화재
- 충돌
- 낙하
122. 작업장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기계공구의 기능
- 전기장치
- 작업장 출입문
- 정리 정돈
123. 산업현장에서 통행을 할 때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뛰지 않는다.
- 통로가 아닌 곳은 걷지 않는다.
-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는다.
- 운반자에게 통행을 양보한다.
124. 대형 금형을 운반할 때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운반차는 규정 속도를 지킨다.
- 운반시 시야를 가리지 않게 쌓는다.
- 승용석이 없는 운반차에도 승차한다.
- 빙판에서 운반시 미끄럼에 주의한다.
125. 금형제작실의 일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긴 장신구를 착용한다.
- 안전화를 착용한다.
- 작업복을 착용한다.
- 보안경을 착용한다.
126. 금형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보호구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 유해 위험요소에 대한 방호 성능이 충분하여야 한다.
- 보호 장구의 원재료 품질이 양호하여야 한다.
- 겉모양과 표면이 섬세하고 외관상 좋아야 한다.
- 착용이 불편하여야 한다.
127. 프레스의 안전 점검 중 틀린 것은?
- 정기점검
- 일상점검
- 임시점검
- 매분점검
128. 금형부품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작업을 할 때 안전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 비상정지 장치 확인한다.
- 보호안경 준비 확인한다.
- 공작물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 안전덮개를 제거한다.
129. 정리·정돈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 떨어지거나 넘어질 우려가 있는 위험물을 방치한다.
- 놓을 장소와 방법을 미리 정해둔다.
- 불필요한 물품은 빨리 회수, 처분한다.
- 작업이 끝나면 전원이 참가하여 정리·정돈한다.
130. 일반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 기계의 가동 시에는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
- 기계의 가동 중에 정비, 청소를 해야한다.
- 내용을 모르는 작업에 함부로 손대지 말아야 한다.
- 모든 기계는 담당자 이외에 손대지 말아야 한다.
131. 금형 재료 중에서 주철과 주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주조성이 우수하다.
- 절삭가공이 어렵다.
- 흑연이 윤활작용을 한다.
- 부분적으로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132. 금형 재료 중에서 탄소공구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수냉으로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다.
- 가격이 싸고 가공성이 우수하다.
- 단단하지만 부스러지는 특성이 있다.
- 경도가 균일하고 균열 위험이 없다.
133. 금형 재료 중에서 일반구조용강과 기계구조용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가격이 비싸다.
- 구입이 용이하다.
- 가공성이 양호하다.
- 열처리하지 않고 사용한다.
134. 금형재료로 사용하는 탄소강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커야 한다.
- 내마모성이 커야 한다.
- 가공이 용이하여야 한다.
- 가격이 비싸야 한다.
135. 특수강에 첨가하는 원소가 금속성질을 개선하는 것을 설명한 것 중에서 옳은 것은?
- 기계적 성질을 감소시킨다.
- 담금질성을 감소시킨다.
- 화학적 성질을 감소시킨다.
-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136. 구리가 다른 금속에 비하여 우수한 점을 설명한 중에 틀린 것은?
- 열의 전도성이 우수하다.
-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 부식하기가 쉽다.
- 광택이 아름답다.
137. 대량생산용 금형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강은?
- STD
- Al
- Zn
- Cu
138.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크면 곤란하고, 정밀 ․ 복잡한 캐비티(Cavity) 제작에 사용하는 강은?
- 석출 경화강
- 내식강
- 비자성강
- 아연합금
139. 강의 내부응력 제거와 강도 ․ 인성을 증가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 담금질
- 뜨임
- 풀림
- 노멀라이징(Nomalizing)
140. 아공석강의 담금질(quenching) 열처리 온도로 옳은 것은?
- A1 변태선 이상 30~50℃
- A2 변태선 이상 50~80℃
- A3 변태선 이상 30~50℃
- A4 변태선 이상 50~80℃
141. 대량생산용 펀치나 다이에 주로 사용하는 금형재료는?
- 합금공구강(STD 11)
- 연강(SM 15C)
- 고속도강(SKH 57)
- 탄소강(SM 55C)
142. 철강 주물에 비하여 가벼운 금속으로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사용하는 재료는?
- 주물
- 탄소강
- 연강
- 알루미늄
143. 합성수지(synthetic resine)의 성질 중 틀린 것은?
- 성형이 간단하다.
- 무겁고 약하다.
- 내산성이 좋다
- 열에 약하다.
144. 합성수지의 성형방법으로 틀린 것은?
- 압축성형
- 사출성형
- 압출성형
- 주물성형
145. 열을 가하여 성형한 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지(resin)는?
- 열경화성수지
- 열가소성수지
- 내부변화성수지
- 외부경화성수지
146. 스프링에 비해 탄성한도의 허용 폭이 크며, 안경테, 스프링, 와이어 등에 사용하는 재료는?
- 초소성 재료
- 초탄성 재료
- 초전도 재료
- 자성 재료
147. 구조용 신금속 재료 중에서 고강도강 재료로 틀린 것은?
- 초강력강
- 티타늄 합금
- 시효 경화강
- 연강
148. 금속 재료 기호 표기법에서 황동의 기호는?
- Al
- Bs
- F
- Pb
149.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이 요구하는 성질로 틀린 것은?
-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 열간 취성이 커야 한다.
- 응고 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률이 좋아야 한다.
- 금형에 접착하지 않아야 한다.
150. 주철의 분류에서 특수주철에 해당하는 것은?
- 칠드주철
- 보통주철
- 합금주철
- 고급주철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