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hinery, Molding 1-50
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achinary, Molding] 1-50
EPS-TOPIK, Work Related 50 Question [Machinary, Molding] 1-50
Please click on to check the Correct Answer.- 1. 다음 중 절삭가공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선반 작업(Turning)
- 밀링(Milling)
- 프레스 작업(Pressing)
- 드릴링 작업(Drilling)
- 2. 다음 중 회전 공구에 의한 가공이 아닌 것은?
- 선삭(Turning)
- 밀링(Milling)
- 보링(Boring)
- 드릴링(Drilling)
- 3. 공작기계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 높은 정밀도를 가질 것
- 가공능력이 클 것
- 고장이 적고 효율이 좋을 것
- 가격이 비싸고 운전비용이 저렴할 것
- 4. 다음 중 고정입자에 의한 가공은?
- 호닝(Honing)
- 래핑(Lapping)
- 액체 호닝(Liquid honing
- 액체 호닝(Liquid honing
- 5. 아래 그림의 공작기계는 무엇인가?
- 선반(Lathe)
- 밀링머신(Milling machine)
- 보링머신(Boring machine)
-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 6. 아래 그림은 어떤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장치인가?
- 선반(Lathe)
- 밀링머신(Milling machine)
- 보링머신(Boring machine)
-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 7. 공작물과 절삭공구가 모두 직선운동을 하는 공작기계는?
- 선반(Lathe
- 보링머신(Boring machine)
- 호닝머신(Honing machine
- 플레이너(Planer)
- 8. 가공 시 칩(Chip)을 발생시키지 않는 공작기계는?
- 연삭기(Grinding machine)
- 호닝머신(Honing machine)
- 밀링머신(Milling machine)
- 프레스기(Press machine)
- 9. 절삭온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가공물의 경도가 높을수록 높아진다.
- 온도가 높아지면 공구수명이 단축된다.
- 공구와 공작물의 마찰이 적을수록 높아진다.
-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으로 인해 치수변화가 발생된다.
- 10. 공작기계 안내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가공이 용이해야 한다.
- 정밀도 유지를 위해 틈새(clearance)를 가능한 적게 한다.
- 내마모성이 크고 미끄럼(sliding)이 원활해야 한다.
-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풀림(annealing)을 실시한다.
- 11. 공작기계의 몸체(body)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있어야 된다.
- 응력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담금질(quenching)을 한다
- 몸체의 재료는 주로 인장강도가 높은 고급 주철을 사용한다.
- 12. 공작기계의 기본운동과 거리가 먼 것은?
- 회전운동(rotation motion)
- 이송운동(feed motion)
- 절삭운동(cutting motion)
- 위치조정운동(positioning motion)
- 13. 아래 그림은 어떤 가공을 나타낸 것인가?
- 보링(boring)
- 밀링(milling)
- 리밍(reaming)
- 드릴링(drilling)
- 14.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등의 기계를 한 대로 조합하여 제작한 공작기계는?
- 범용 공작기계(general purpose machine)
- 전용 공작기계(special machine)
- 만능 공작기계(universal purpose machine)
- 표준 공작기계(standard machine)
- 15. 그림과 같은 가공을 할 수 있는 공작기계는?
- 선반(lathe)
- 밀링머신(milling machine)
-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 슈퍼피니싱(super finishing
- 16. 절삭유(cutting fluids)의 사용 목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공구의 인선을 냉각시켜 공구의 경도저하를 방지한다.
- 가공물을 냉각시켜 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 방지한다.
- 칩(chip)을 씻어주고 가공표면을 양호하게 한다.
- 안내면(slide way)에 윤활작용을 한다.
- 17. 절삭유의 구비조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방청 및 방식성이 좋아야 한다.
- 인화점 및 발화점이 낮아야 한다.
- 냉각성, 유동성, 윤활성이 우수해야 한다.
- 인체에 해가 없고 악취가 나지 않아야 한다
- 18. 물과 원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점성이 낮고 냉각효과가 우수하여 고속절삭 및 연삭 가공액으로 많이 사용되는 절삭유는?
- 광유(mineral oil)
- 유화유(emulsion oil)
- 수용성 절삭유(soluble oil)
- 지방질유(fatty oil)
- 19. 다음 중 절삭온도 측정방법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 칩(chip)의 색깔에 의한 측정
- 절삭유의 온도에 의한 측정
- 칼로리메터(calorimeter)에 의한 측정
- 열전대(thermo-couple)에 의한 측정
- 20. 아래 그림과 같이 기어(gear)를 가공하는 공작기계의 명칭은 무엇인가?
- 셰이퍼(shaping machine)
- 호빙머신(hobing machine)
- 호닝머신(honing machine)
- 브로우칭머신(broaching machine)
- 21. 선반에서 가공할 수 없는 작업은?
- 테이퍼(taper) 절삭
- 나사(thread) 절삭
- 기어(gear) 절삭
- 편심(eccentricity) 절삭
- 22. 보통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 베드(bed) 상의 스윙(swing)
- 왕복대 위의 스윙
- 양 센터(center) 사이의 거리
- 바닥에서 센터까지의 높이
- 23. 아래 그림에서 척(chuck)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 연동척(universal chuck)이다
-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수 있다
- 1개의 조(jaw)를 돌리면 4개의 조가 동시에 움직인다.
- 초보자도 쉽고 빠르게 가공물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 24. 아래 그림의 공구(tool)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 선반(lathe)에서 사용된다.
- 주로 내경가공에 사용된다.
- 엔드밀이라고 한다.
- 인서트 팁(insert tip)의 교환이 불가능하다.
- 25. 절삭속도(cutting speed)의 단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m/min
- mm/min
- mm/rev
- rpm
- 26. 선반에서 지름이 30mm인 탄소강을 1200rpm으로 가공할 때 절삭속도는?
- 113 m/min
- 113 mm/min
- 1130 m/min
- 1130 mm/min
- 27. 선반가공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칩(chip)을 짧게 끊어지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은?
- 노즈(nose) 반경
- 여유각(clearance angle)
- 치핑(chipping)
- 칩 브레이커(chip breaker)
- 28. 사진 속 선반용 부속품에 관해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회전센터(live center)라고 한다.
- 센터의 자루(shank)는 모스테이퍼(morse taper)로 제작한다 .
- 길이가 긴 공작물을 지지할 때 사용된다.
- 심압축(tail stock)에 꽂아서 사용한다 .
- 29. 구성인선(built-up edge)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절삭 속도를 크게 한다.
- 절삭 깊이(depth of cut)를 크게 한다.
- 공구의 날 끝을 예리하게 한다.
- 공구의 윗면 경사각(rake angle)을 크게 한다.
- 30. 선반에서 가늘고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부속장치는?
- 면판(face plate)
- 돌림판(driving plate)
- 방진구(work rest)
- 맨드릴(mandrel)
- 31. 선반에서 지름이 80mm인 공작물을 절삭속도 302m/min으로 가공하고 있다면 이때의 주축회전수는 얼마인가?
- 1000rpm
- 1200rpm
- 1400rpm
- 1600rpm
- 32. 그림은 선반에서 무슨 가공을 하는 것인가?
- 널링(knurling) 가공
- 테이퍼(taper) 가공
- 릴리빙(relieving) 가공
- 보링(boring) 가공
- 33. 선반의 내경절삭(bor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외경바이트에 비해 진동이 심하다.
- 바이트를 최대한 길게 고정한다.
- 외경절삭에 비해 이송을 느리게 한다
- 생크(shank)는 가능한 굵은 것을 사용한다.
- 34. 심압대를 이용하여 아래 도면과 같은 가공물 테이퍼를 가공할 때의 편위량은?
- 5mm
- 6mm
- 7mm
- 8mm
- 35. 선반에서 테이퍼를 가공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복식 공구대(compound tool post)를 경사시키는 방법
- 심압대(tail stock)를 편위시키는 방법
- 테이퍼 절삭장치(taper attachment)를 이용하는 방법
- 왕복대(carriage)를 회전시키는 방법
- 36. 그림과 같이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때 가공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연동척에서 가공할 수 있다.
- 이송을 천천히 하고 절삭속도를 느리게 한다.
- 다이얼게이이지의 이동량은 편심량X2로 맞춘다.
- 충격절삭이 이루어지므로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 37. 선반에서 지름 50mm의 탄소강재를 회전수 1000rpm, 이송 0.2mm/rev, 길이 50mm를 1회 가공할 때 소요되는 시간은?
- 20초
- 40초
- 60초
- 80초
- 38. 다음 중 밀링머신의 몸체(body)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컬럼(column)
- 테이블(table)
- 니(knee)
- 왕복대(carriage)
- 39. 아래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선반(lathe)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 회전테이블(circular table)이라 한다.
- 원주분할, 기어가공 등을 할 수 있다.
-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수 있다.
- 40. 밀링머신에서 하향절삭(down cutt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백 래시(back lash)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상향절삭(up cutting)에 비해 공구수명이 길다.
- 가공면이 깨끗하고 고정밀 절삭이 가능하다.
- 절삭가공시 마찰력은 적으나 큰 충격력이 발생된다.
- 41. 밀링가공시 절삭속도 선정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커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추천 절삭속도보다 약간 높게 설정한다.
- 공작물의 경도, 강도,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고려한다.
-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 속도를 느리게, 이송 속도를 빠르게,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 커터의 날이 빠르게 마멸되거나 손상이 되면 절삭속도를 좀 더 낮게 한다.
- 42. 밀링작업에서 떨림(chattering)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 공작물을 단단히 고정한다
- 백 래시(back lash)를 최대한 줄인다.
- 공구는 최대한 길게 고정시킨다
- 절삭 깊이를 적게 한다.
- 43. 연삭가공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경화된 강과 같은 단단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 정밀도가 높고 표면거칠기가 우수한 다듬질면을 얻을 수 있다.
- 절삭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 연삭점의 온도가 매우 높다
- 44. 연삭숫돌의 3요소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 입자(abrasive)-결합제(bond)-기공(pore)
- 입도(grain size)-결합도 (grade)-기공(pore)
- 입자(abrasive)-결합도(grade)-기공(pore)
- 입도(grain size)-결합제(bond)-기공(pore)
- 45. 아래 그림과 같이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가공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리밍(reaming)
- 보링(boring)
-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 46. 드릴(drill)의 파손원인이 아닌 것은?
- 이송이 너무 커서 절삭저항이 증가할 때
- 구멍에 칩(chip)이 배출되지 못할 때
- 드릴을 너무 짧게 고정시켰을 때
- 절삭날이 규정된 각도와 형상으로 연삭되지 않았을
- 47. 줄(file) 작업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 줄을 밀 때 체중을 몸에 가하여 민다
- 눈은 항상 가공물을 바라본다.
- 줄을 당길 때 가공물에 압력을 가한다.
- 팔꿈치를 옆구리에 밀착시켜 줄과 수평이 되게 한다.
- 48. 탭핑(tapping)작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암나사를 가공하는 작업이다.
- 탭이 경사지지 않게 가공한다.
- 드릴의 지름은 수나사 지름에서 나사피치를 뺀 값과 같다.
- 탭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최대한 긴 탭핸들을 사용한다.
- 49. M10 TAP을 가공하려 한다. 이 때 드릴지름은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피치(pitch)는 1.5mm이다
- 7.5mm
- 8mm
- 8.5mm
- 9mm
- 50. 드릴(drill)의 표준 선단 각은 몇 도인가?
- 45°
- 98°
- 118°
- 128°
No comments:
Post a Comment